디자인 스쿨 33기/스터디
[제로베이스 UIUX스쿨] 4주차 아티클 스터디 : UX 리서치에서 태도 기반 연구와 행동 기반 연구
cherry25
2024. 12. 29. 10:49
**태도 기반 연구(Attitudinal Research)**와 **행동 기반 연구(Behavioral Research)**는 사용자 경험(UX)에서 서로 보완적인 인사이트를 제공하며, 각각의 접근법은 사용자와의 상호작용을 다양한 관점에서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준다.
1. 정의
- 태도 기반 연구
- 사용자의 주관적인 경험, 감정, 기대, 선호를 탐구.
- 사용자가 생각하거나 느끼는 이유를 이해하는 것이 목적.
- 설문조사, 인터뷰, 포커스 그룹 등을 통해 자기 보고(self-reported) 데이터를 수집.
- 행동 기반 연구
- 사용자의 실제 행동과 상호작용을 관찰.
- 사용자가 제품을 어떻게 사용하는지 파악하여 데이터를 수집.
- 사용성 테스트, 눈 추적(Eyetracking), 분석 툴, A/B 테스트 등을 사용.
2. 태도 기반 연구의 특징
- 무엇을 연구하나?
- 사용자의 생각, 감정, 선호, 정신 모델 등 직접 관찰할 수 없는 것.
- 방법과 주의사항
- 중립적이고 비편향적인 질문 설계가 중요.
- 과거 행동이나 미래 의도에 대한 질문은 부정확할 수 있으므로 주의 필요.
- 대표적 방법
- 설문조사: 광범위한 데이터 수집.
- 인터뷰: 개별적인 심층적 인사이트 제공.
- 포커스 그룹: 집단 토론을 통해 공통된 태도 파악.
3. 행동 기반 연구의 특징
- 무엇을 연구하나?
- 사용자의 행동 패턴, 사용 과정에서의 장애 요소 등 관찰 가능한 행동.
- 대표적 방법
- 사용성 테스트: 특정 작업 수행 중 발생하는 문제 탐지.
- 눈 추적: 사용자 시선과 주의 집중 분석.
- 분석 데이터: 사용자 클릭, 스크롤, 마우스 움직임 등의 행동 데이터 집계.
- A/B 테스트: 두 가지 버전의 성능 비교.
4. ‘사용자가 말하는 것’과 ‘사용자가 하는 것’의 차이
- 사용자는 자신의 경험을 정확히 기억하거나 표현하지 못할 수 있음.
- 사회적 규범이나 연구자의 기대에 맞추려는 경향 존재.
- 인사이트의 원천: 사용자의 태도와 행동 간 불일치를 발견하고 분석.
5. 통합 접근법: 태도와 행동의 결합
- UX 연구는 보통 두 가지 방법을 결합하여 '무엇을'(행동)과 '왜'(태도)를 모두 탐구.
- 예:
- 사용자가 특정 버튼 클릭을 망설임 → 행동 관찰 후, 원인 파악을 위한 후속 질문 수행.
- 결과
- 사용자 기대와 행동 간의 간극을 메우고, 기능성과 사용자 친화성을 동시에 갖춘 디자인을 설계.
6. UX 디자인에서의 활용
- 균형 잡힌 전략
- 설문조사나 인터뷰로 사용자의 불만 사항 파악 → 행동 연구로 심층 분석.
- 결과물
- 사용자의 태도와 행동을 이해한 디자인은 더 높은 만족도와 효율성 제공.
- 결론
태도와 행동 기반 연구를 구분하고 통합적으로 활용하면 사용자가 기대하는 바와 실제 사용하는 방식을 모두 고려한 UX 디자인이 가능하다. 이러한 통합 접근법은 가치 있고 즐거운 사용자 경험을 만드는 데 필수적이다.
참고 아티클 문서 : UX 리서치에서 태도 기반 연구와 행동 기반 연구