디자인 스쿨 33기/스터디

[제로베이스 UIUX스쿨] 2주차 아티클 스터디 : UI/UX 디자이너 로드맵

cherry25 2024. 12. 15. 20:35

 


- 로드맵 개요

해당 글에서 제시하는 로드맵은 총 3단계다.

 

  1. 기초 다지기: 디자인 이론, 인간 행동 등 기본 지식을 습득(약 2~3주 소요).
  2. 실무 스킬 학습: UI와 UX 모두 학습, 특히 중소기업에서는 두 영역을 모두 다루는 경우가 많음.
  3. 추가 스킬 확장: 예를 들어, 프론트엔드 개발 또는 No-code 툴 학습.

1. 기초 다지기

 

  • 디자인 이론: 색상, 타이포그래피, 형태 등을 이해.
    • 실무에서 바로 사용할 수 있을 만큼만 학습.
  • 디지털 심리학: 인간의 디지털 행동을 이해하고, 이를 디자인에 적용.
    • 예: “엄지 영역(thumb zone)”에 버튼 배치.
    • 관련 리소스: Laws of UX(UX 법칙 모음), 인간 의사결정 방식 이해.
  • 제품 디자인: 문제 해결 관점에서 디자인 접근.
    • 주요 개념: 디자인 스프린트, 디자인 사고, Agile/Scrum 워크플로우.
    • 이론보다는 실무에서 더 많이 배움.

2. 실무 스킬 학습

2-1. UX의 기본 정의

  • UX 기본 철학 및 원칙
    • UX 디자인 목표:
      1. 유용성(Utility): 제품이 사용자 필요를 충족하는가?
      2. 사용성(Usability): 제품이 직관적으로 사용 가능한가?
      3. 매력성(Desirability): 사용자가 제품을 좋아하는가?
      4. 영감성(Aspirational): 사용자가 제품 사용 후 성취감 또는 안전함을 느끼는가?
    • 목표를 균형 있게 통합하는 것이 중요하다.
  • UX 리서치 수행 및 문서화
    • 사용자 요구 조사 및 결과를 체계적으로 정리.
  • UX 툴 사용
    • 다양한 UX 툴 중 자신에게 맞는 것만 익히고, 이후 회사 환경에 적응하는 방향으로.
  • 기타 학습 방향
    • 학습 가이드라인: 학습 중 깊이 파고들기보다는 필요에 따라 적당히 배우고 넘어갈 것.
    • 꾸준한 실무 경험과 관찰: 사용자를 관찰하며 실제 적용할 수 있는 통찰력 기르기.

2-2. UX 리서치

1. UX 리서치 진행 방법

  1. 제품 이해:
    • 사용자 스토리Jobs-To-Be-Done Framework (JTBD) 활용.
    • 사용자가 왜 제품을 사용하는지 큰 그림을 이해하고, 이를 통해 세부적인 비즈니스 목표와 UX 리서치 계획 수립.
  2. 사용자 이해:
    • 공감(empathy) 단계에서 데이터를 수집(인터뷰, 설문조사 등).
    • Affinity Mapping으로 데이터를 정리하고, 고객 여정 맵(Customer Journey Map) 작성.
    • 데이터 유형: 심리적, 행동적, 인구 통계학적, 정량/정성 데이터.
  3. 해결책 테스트:
    • 아이디어를 검증하기 위해 사용자 인터뷰나 맥락적 탐구(Contextual Inquiry) 진행.
    • 가설 검증 여부를 기록.
  4. 테스트 툴 활용:
    • 예시: Maze Design(원격 테스트), Hotjar(웹사이트 히트맵 분석).
    • 상황에 맞는 툴을 선택해 활용.

2. UX 리서치 툴의 종류

  • Miro: 협업 가능한 디지털 화이트보드.
  • Lucidchart: 간단한 협업 다이어그램 제작 도구.
  • Whimsical: Airbnb와 Notion에서 사용하는 간단한 다이어그램 툴.
  • FlowMapp: UX 디자인 전체 프로세스를 지원하는 툴.

3. UX 문서화

  • 문서화의 중요성
    • 다른 부서와의 커뮤니케이션 및 설득.
    • UX 프로세스와 관련된 변경 사항 공유.
  • 기본 문서화 요소
    • 테스트 관찰 및 결과
    • 디자인 원칙 요약
    • Google Docs(초기 단계일 때)
    • Confluence 또는 Gitbook과 같은 전문 위키 툴

2-3. UI 디자인 학습

1. UI 디자인 가이드라인 및 원칙

  • 플랫폼별 디자인 가이드라인 학습:
    • Android: Google Material Design
    • iOS: Apple Human Interface Guidelines
    • MacOS: Apple MacOS 디자인 가이드라인
  • 웹 접근성 가이드라인(WCAG):
    • 시각적 장애를 포함한 다양한 사용자를 고려한 디자인.
    • 툴: 명암 체크 도구(Contrast Checker)

2. 와이어프레임

  • 색상과 이미지를 제외한 레이아웃 설계
    • Balsamiq: 손그림 같은 와이어프레임 제작.
    • InVision: 빠른 와이어프레임 제작 가능.

3. 프로토타이핑

  • 최종 제품과 유사한 고품질 시제품 제작
    • Figma: 협업 가능
    • Sketch: 다양한 플러그인 지원
    • Framer: 복잡한 인터랙션 디자인 가능


3. 추가 스킬 확장

  • 프론트엔드 개발
    • CSS, HTML 같은 기초를 이해하여 개발자와 원활히 소통.
    • ReactJS, NodeJS를 활용한 프로토타입 제작 가능.
  • No-code 개발
    • Webflow, Bubble 같은 플랫폼으로 빠르게 프로토타입 제작.
  • 제품 관리
    • UX 디자이너의 고객 조사 및 와이어프레임 경험을 바탕으로 제품 관리로 전환 가능.

- 결론

UI/UX 디자인은 끝없이 학습해야 하는 영역으로, 현장에서 배우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.

  • 핵심: 사용자 문제 해결을 위한 솔루션 창출하기
  • 글의 조언: 한 툴에 집착하지 말고, 상황에 맞는 도구와 기술을 유연하게 익히기

참고 아티클 문서 : https://medium.com/design-bootcamp/the-self-taught-ui-ux-designer-roadmap-in-2021-aa0f5b62cecb